메인메뉴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정보마당

평화와 자유를 사랑하는 세계인들 누구나
유엔참전용사의 희생에 감사하고 추모할 수 있습니다.

언론보도

유엔기념공원과 관련한 신문, 잡지 등의 "언론 보도기사 모음" 입니다.

2023.10.30 국제신문/ “직업군인 거부해 부산행…한국전 참혹함 책으로 펴냈죠”

 

“직업군인 거부해 부산행…한국전 참혹함 책으로 펴냈죠”

 

UN공원에 잠든 용사들…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2 <17> 영국군 케네스 켈드

 

 

▷ 영상: https://youtu.be/-aKxfzHuD9U?si=n3t5MIhH3D0v8aCo

 

- 상관 요구 거부로 참전 명 받아

- 부산 도착하니 춥고 끔찍한 악취
- 연천군 일대서 소총수 임무수행
-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는 전우애

- 휴전 뒤 떠나기 전 유엔공원 찾아
- 전사 대원에 가슴 아픈 작별인사
- 英서 참전용사협회 활발히 활동
- ‘후크고지의 영웅들’ 등 3권 발간

“전쟁에서 전우를 잃는 게 가장 힘들었습니다. 이걸 잊고 앞으로 나아가야만 살 수 있었습니다. 부대원이 40명 정도였는데 한 번 전투를 치르면 17명 정도밖에 안 남았습니다. 제가 그중 한 명이었습니다.”

영국 동쪽 노스요크셔의 스카버러에서 한국전쟁 참전용사 케네스 켈드(89)를 만났다. 성성한 백발에도 말끔한 옷차림에 차분한 말투가 인상적이었다. 전쟁의 참극을 겪었다는 게 믿기지 않을 만큼 온화하고 푸근한 할아버지의 모습도 엿볼 수 있었다.

“저는 1934년 3월 14일 이곳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요크셔의 동쪽에 위치한 포터 브롬턴에서 태어나 살았습니다. 15살까지 학교에 다녔고 이후 처음으로 구한 일자리는 농장 등을 짓는 건설 업체였습니다. 18살이 되자 의무 복무를 위해 입대했죠.”

■“너는 한국에 갈 거야!” 


케네스 켈드가 한국전쟁에 참전했을 때 당시 사진. 케네스 켈드 제공


1952년 4월 17일 케네스는 입대해 16주간 기초 군사 훈련 등을 받았다. 자대에 배치되고 이튿날 상관과 군 생활과 관련해 면담했다. 그의 상관은 직업 군인으로 복무하는 게 어떠냐고 물었다. 그의 대답은 ‘아니요’ 였다. 그러자 상관은 ‘너는 한국에 갈 거야!(You’ll go to korea!)’라며 윽박질렀다.


“당시 군은 지속해서 복무할 군인을 찾고 있었습니다. 제가 직업 군인으로 복무한다고 했다면 아마 수에즈 운하 문제로 이집트로 갔을 것입니다. 저는 아니라고 대답했기에 진짜 한국으로 갔죠. 18살의 어린 나이라 가기 싫거나 걱정하지는 않았어요. 단지 국가가 불러서 참전했던 거죠.”

이듬해 1월 그는 영국 듀크 오브 웰링턴 부대 소속으로 한국으로 향했다. 그가 먼저 들른 곳은 일본이었다. 이곳에서 겨울 보급품을 받았고, 이후 부산 땅을 밟았다. 그가 느낀 한국의 첫인상은 썩 좋지 않았다.

“그해 1월 부산은 매우 추웠습니다. 냄새도 끔찍했는데, 정말 전쟁을 겪는다고 생각했죠. 그렇게 기차를 타고 26시간 이동했던 게 기억 납니다. 기차에서는 폐허가 된 한국을 봤습니다. 제가 갔을 때 이미 전쟁이 3년째 지속돼 그럴 수밖에 없었죠.”

그가 도착한 곳은 영국군과 미군 등이 지키고 있는 ‘후크(hook) 고지’였다. 현재 경기도 연천군 장남면 판부리 일대다. 해발 200m 남짓의 능선 고지가 쇠고리 모양을 닮아 후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이곳에서는 1952년 10월부터 이듬해 휴전 직전까지 영국군과 미군이 4차례에 걸쳐 적군과 격전을 치렀다. 그 결과 임진강 북단의 연천군 장남면 백학면미산면 왕징면 일대를 현재 대한민국의 영토로 귀속시킬 수 있었다. 케네스도 이곳을 지켰다.

“이곳이 서울로 갈 수 있는 등 주요 통로라 사수하는 게 굉장히 중요했습니다. 영국군 외에도 미군도 함께 있었습니다. 이곳을 적군에게 빼앗기면 아마도 다시 유엔군이 서울로 밀렸을지도 모릅니다.”

■후크 고지의 영웅들

케네스 켈드가 부산에 입항했을 때 타고온 배에서 군인이 내리는 모습. 케네스 켈드 제공


케네스는 이곳에서 소총수 임무를 맡았다. 보초를 많이 섰고, 정찰도 자주 나갔다. 정찰 작전이 있을 때면 적군이 있을지도 모르는 지역으로 들어갔다. 적군을 맞닥뜨릴 수도 있고, 지뢰밭으로 들어갈 수도 있어 긴장된 분위기가 지속했다.


“정찰 땐 3명이 나갔습니다. 우리도 그렇지만 적군도 조우하길 원치 않았죠. 적군을 발견하면 부대로 돌아와 알리는 게 주 임무였습니다. 정찰하면서 다행히 적군을 만난 적은 없습니다. 그래도 적군이 수시로 지뢰 위치를 옮겨놔 두려웠습니다.”

매일 밤 후크 고지를 향한 적의 포격도 이어졌다. 이곳에 있는 모든 군인은 매서운 포격에 아무 말도 하지 않았지만, 침묵 속에서 다 같이 어쩔 수 없는 공포를 느꼈다. “중공군이 후크 고지를 빼앗기 위해 계속 포격했습니다. 한 번은 중공군 한 명이 투항하기도 했는데, 정보를 제대로 전달해 주지 않아 매일 포격에 대비해야 했습니다. 당시 우리보다 중공군이 5배나 많았던 게 기억 나기도 하네요.”

 

케네스 켈드가 2021년부터 자신의 한국전쟁 이야기, 전우의 참전 수기 등을 엮어 발간한 책들. 김태훈 PD

 

가장 참혹한 순간은 전우를 잃을 때였다. “처음 전우를 잃었을 때 특히 더 힘들었습니다. 한번 전투가 벌어지면 우리 부대원 40명 중 살아남는 전우는 17명 정도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중에 제가 한 명이었죠. 전우가 전사해도 이걸 잊고 앞으로 나아가야만 살 수 있었습니다.”


잔혹한 전쟁터를 꿋꿋이 이겨낼 수 있었던 원동력은 전우애였다. 일반 병사부터 장교까지 전우애는 최고 수준이었다. 생사를 가르는 전쟁터에서 서로 가능한 한 도움을 주는 분위기가 형성돼 있었다. 케네스는 영국군 병장이었던 조 페린과 친했다.

“조는 잘못해도 눈감아주는 스타일이라 편했습니다. 후임의 편에서 항상 생각해 줬죠. 장교랑 있으면 감시하는 분위기가 있었는데, 조랑 함께 있으면 대강해도 괜찮았어요.” 조도 무사히 전쟁을 마치고 생환해 영국에서 교도관으로 일했다. 지금은 작고했지만, 케네스는 조의 아들과 연락하며 지낸다.

■잊지 못하는 전우들

케네스 켈드가 영국 노스요크셔의 스카버러 자택에서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영국 부대 마크를 설명하고 있다. 김태훈 PD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이 이뤄졌다. 영국군 등 일부 부대는 평화 유지를 위해 이곳에 남았다. 케네스도 그해 11월까지 임진강 인근에서 근무했다. 이후 그는 지브롤터를 거쳐 영국으로 돌아가 1954년 4월 15일 제대했다. 그가 한국을 떠나기 전 마지막으로 들린 곳이 있다. 바로 전우가 묻힌 부산 남구의 유엔기념공원이다.


“한국에서 생환한 전우가 가장 힘들어했던 날 중 하나가 유엔공원에 갔던 날이었습니다. 사라진 동료에게 영원한 작별 인사를 나누는 날이었죠. 이곳에는 제가 알고 지낸 동료들이 꽤 많습니다. 그중 우리 집 근처에 살았던 피터 메이슨이 기억 납니다. 먼 타국에서 만난 고향 사람이라 정말 편하게 생각했었죠. ” 피터는 1953년 5월 28일 휴전을 한 달 정도 앞두고 대한민국 땅을 수호하다가 전사했다.

영국으로 돌아온 케네스는 일상으로 돌아갔다. 그는 전우를 잊지 않았고, 1978년 영국 한국전쟁 참전용사협회 창립 멤버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이후 한국전쟁과 관련된 책을 집필했다. “2017년 친척이 돌아가셔서 장례식에 갔습니다. 그곳에서 사회를 보던 목사가 ‘인생에서 무엇을 했는지 글로 남겨야 한다’는 말씀을 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제 이야기를 책으로 써야겠다고 결심했습니다.”

2021년부터 자신의 한국전쟁 이야기를 담은 책인 ‘후크 고지의 영웅들’ ‘너는 한국에 갈 거야!(You’ll go to korea!)’와 전우의 한국전쟁 참전 수기를 엮어 쓴 ‘고요한 아침의 이야기들(Stories from the morning calm)’ 등 총 3권의 책을 각각 발간했다. 처음 쓴 ‘후크 고지의 영웅들’이란 책은 한글판으로 영문판인 뒤의 두 권의 책이 발간되기 전 국내에 먼저 나와 세간의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는 전우를 끝까지 잊지 않을 것이란 말로 마지막 인사를 건넸다. “한국전쟁 참전용사에게 제일 중요한 것은 함께 돌아오지 못한 전우를 기억하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그의 가족을 기억하는 일도 포함됩니다.”